어제 중국의 수도 베이징 근교에서 발생한 가스 폭발 사고의 사상자가 34명으로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관영 CCTV의 현장 취재마저 통제되면서 중국 기자 협회가 이례적으로 항의 성명을 내놓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현지 연결해서 들어봅니다. 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먼저, 하루 사이 사망자 수가 많이 늘었네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제까진 사망자가 2명이라고 발표했는데, 밤사이 7명으로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부상자는 26명에서 1명 더 추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합쳐서 34명 사상, 구조 작업이 마무리된 어젯밤 11시(현지시각)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근교인 허베이성 싼허시에서 폭발 사고가 난 건 어제 아침 7시 55분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상가 1층에서 가스가 터졌는데, 충격이 얼마나 컸는지 4층짜리 건물이 뼈대만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주변은 폭격을 당한 듯 아수라장이 됐고, 당국은 반경 500m를 통제한 채 사고 수습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나친 취재 통제 때문에 중국 기자협회가 이례적으로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먼저 어제 중국 관영 CCTV의 현장 생중계 보도 화면 함께 보실까요? <br /> <br />[CCTV 생중계 화면 : 현장에서는 응급 소방과 공안의 역량이 개입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(너무 위험합니다!)] <br /> <br />보안 요원들이 외신은 물론 관영 매체의 취재까지 가로막는 장면이 고스란히 전파를 탔습니다. <br /> <br />또 CCTV 기자 3명이 10여 명에 에워싸인 채 취재 현장에서 밀려나는 장면도 인터넷에 올라왔는데요. <br /> <br />중국 기자협회는 보도자료 1장이 현장 취재를 대체할 순 없다며 이례적으로 성명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여론이 나빠지자, 지역 당국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대피를 권하는 과정에서 거친 행동이 나왔다며 사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에서 이런 가스 폭발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뭡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중국 매체들이 보도한 가스 사고는 612건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14억 인구 대국에 인구밀도도 높은 만큼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겠죠. <br /> <br />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집계한 2022년 가스 사고가 78건이었던 것과 비교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LPG 가스통 사용 비율이 높은 중국, 낡은 설비에서 가스가 새면서 폭발이나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안전 불감증이나 사용 부주의도 주요 사고 원인으로 꼽히는데요. <br /> <br />작년 6월 닝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31413330005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